건강과 농임업/농임업

스마트팜 쌈채소 재배

가우프로. 2023. 5. 29. 18:27
반응형

스마트팜이란 단어 들어보셨나요? 

 

최근 농촌에서는 농업기술과 ICT 기술을 융합해서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 좋은 농산물을 만들어내는 혁신농업인 스마트팜이 각광받고 있다고 해요.

 

이 스마트팜 중에서도 쌈채소 재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쌈채소란 무엇인가요?


우리가 먹는 채소중 상추, 깻잎 등 잎을 주로 먹는 채소들을 쌈채소라고 불러요. 고기 먹을 때 필수품이죠! 특히나 한국인에게 인기있는 대표적인 쌈채소로는 상추, 깻잎, 케일, 청경채, 치커리, 적근대, 겨자채, 로메인 등등이 있어요.

 


왜 스마트팜이어야 할까요?


일반 노지재배와는 달리 스마트팜은 온도, 습도, 빛 같은 환경요소를 제어하기 때문에 작물생육환경을 최적화시켜주고 노동력 절감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어요. 게다가 수확량 증가 및 품질향상 효과까지 얻을 수 있으니 일석이조겠죠?

 


어떤 종류의 스마트팜이 있나요?


대표적인 스마트팜으로는 수직농장(vertical farm), 식물공장(plant factory), 컨테이너팜(container farm)등이 있어요.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수직농장: 건물 안에 설치되어 수경재배 방식으로 운영되는 농장입니다. 규모가 크고 시설비가 많이 들지만 공간 활용성이 높고 유지관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어요.
식물공장: 밀폐된 공간에서 인공조명과 양액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공장형 농장이에요. 외부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투자비용이 비싸고 설비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요.
컨테이너팜: 이동식 농막 형태의 비닐하우스로 내부에 냉난방시설과 관수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연중생산이 가능하며 투자비용이 저렴하고 비교적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하지만 기존 온실 대비 보온성과 단열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요.

 


 

추가요청내용 

 

쌈채소 수경재배 초기 시설비는 규모, 재배 방식, 사용 장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필요한 주요 시설과 대략적인 비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시설

항목 설명 예상 비용 (소규모~중규모)

온실 (비닐하우스 등) 기후 조절을 위한 필수 시설 1,000만~5,000만 원
수경재배 시스템 NFT(양액막) 또는 딥워터(DFT) 방식 500만~3,000만 원
양액 공급 장치 양액 조절기, 펌프, 배관 등 500만~2,000만 원
LED 조명 (필요 시) 광량 보완용 (실내 또는 저조도 환경) 500만~2,000만 원
온습도 제어 시스템 환경 자동 조절 시스템 200만~1,500만 원
종자 및 초기 운영비 씨앗, 배양액, 컨테이너 등 100만~500만 원

2. 총 예상 비용

  • 소규모 (10~30평): 2,000만~5,000만 원
  • 중규모 (50~100평): 5,000만~1억 원
  • 대규모 (100평 이상): 1억 원 이상

추가 정보

  • 스마트팜 시스템을 적용하면 효율이 높아지지만 초기 비용이 증가할 수 있음
  • 정부 지원금(스마트팜 보조금 등)을 활용하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음
  • NFT 방식(양액이 얇게 흐르는 시스템)은 물과 양액 소비가 적고 관리가 용이함
반응형